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해피CGI
- php
- #웹솔루션
- 홈페이지제작
- happycgi
- #CSS
- #cgimall
- 해피씨지아이
- #홈페이지
- #솔루션
- #해피CGI
- 홈페이지
- #동영상
- javascript
- 게시판
- #업종별
- CSS
- 웹솔루션
- #이미지
- #뉴스
- #image
- #jQuery
- jquery
- #쇼핑몰
- CGIMALL
- 쇼핑몰
- #happycgi
- 솔루션
- 사이트제작
- #홈페이지제작
- Today
- Total
목록#카카오 (5)
웹솔루션개발 25년 노하우! 해피CGI의 모든것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특정 카카오톡 채널을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의 API 입니다. (구 플러스 친구)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talk-channel/common 페이지에서 API 소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카카오톡 채널을 카카오톡으로 연결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사유는 해당 페이지에 자세하게 명시 되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의 장착 방법은 https://developers.kakao.com/tool/social-plugin/channel/add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 채널 ID를 입력하시고 버튼크기를 지정하신뒤에, 하단의 코드생성 버튼을 클릭 하시면 완성된 소스를 확인이 가능 합니다. 추가..
카카오톡 채널에 고객이 1:1 채팅을 연결 할 수 있는 기능의 OpenAPI 입니다. Javascript로 쉽게 장착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동 소스는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js/kakao-talk-channel 아래는 데모 페이지 주소 입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js/demos/kakao-talk-channel-chat PC에서 톡상담 버튼을 클릭시 카카오 로그인창이 오픈되고, 로그인을 완료 하는 경우에 팝업창이 아래처럼 변경 되면서 자동으로 해당 로그인된 카카오톡으로 채팅방이 오픈 되어 채팅을 시작 할 수 있게 됩니다. 카카오톡이 설치가 된 스마트폰의 브라우저에서 위 ..
카카오내비를 이용해 길찾기 시작을 하는 API 입니다. 모바일 페이지에 특정 위치로의 길찾기 기능을 제공 하고 싶을 경우 이용을 하면 좋습니다.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소스편집 방법은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js/kakaonavi-api#예제-카카오내비를-이용해-길찾기-시작하기 해당 소스 관련한 레퍼런스는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js-reference#kakao_navi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번역 API 입니다. 한국어 -> 타국어로 변환 및 타국어 -> 한국어로 변환이 지원되고 있으며, 타국어 -> 타국어로 변환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일본어->영문은 제공되지 않음) 번역 API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App key 를 받아야 되며, https://developers.kakao.com/apps 페이지에 접속해서 앱만들기 버튼을 통해 키를 생성 하여 받을수가 있습니다. 앱을 생성한뒤에 생성된 앱의 상세정보 페이지에 접근을 하여 앱키표시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된 키를 확인이 가능 하며, 앱 정보 옆에 있는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플랫폼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이후 생성된 REST API Key 를 복사해두셨다가 소스 개발을 하실때 이용하시면 됩니다. 번역 API의 이용법은 아래 ..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에 URL 등 공유기능을 이용할 경우 원치 않은 사이트 이름이나 이미지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해당 SNS 서버가 입력한 URL로 접속을 하여 이미지등의 정보를 수집할때 참고할 소스가 없어 처음 호출되는 이미지가 수집이 되는 것입니다. URL를 전송할 페이지의 껍데기 파일의 사이에 참고할 소스를 추가해 놓으면 고정된 이미지를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하실 수 있습니다. 상기 소스를 껍데기 파일에 추가를 하신 후 content 부분에 각각 설정을 하시면 SNS 공유시에 원하시는 이미지와 사이트 이름을 공유하실 수 있게 됩니다. 이미 전송된 URL 의 경우에는 카카오 서버에 캐시가 남게 되어 og 태그를 적용하더라도 적용된 내용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https://..